식품업계, '식물성 식품' 시장에 도전장...CJ에 신세계·농심까지
상태바
식품업계, '식물성 식품' 시장에 도전장...CJ에 신세계·농심까지
  • 노준영 기자
  • 승인 2022.07.19 1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열린 CJ제일제당의 식물성 식품 연구개발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직원들이 고기 없는 떡갈비, 함박스테이크, 만두 등 식물성 식품 시식을 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처)
18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열린 CJ제일제당의 식물성 식품 연구개발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직원들이 고기 없는 떡갈비, 함박스테이크, 만두 등 식물성 식품 시식을 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처)

[nbn시사경제] 노준영 기자

국내 내로라하는 식품 유통 기업들이 식물성(Plant-based) 식품 브랜드를 본격적으로 키우고 있다.

지금까지 대체육 시장은 주로 B2B(기업간 거래) 중심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식품업체들이 고유 브랜드와 매장을 연이어 선보이면서 직접 소비자를 만나는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해가는 모양새다.

글로벌 시장 규모가 26조 원을 넘는 데다 매년 평균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는 만큼, '식물성 식품이 미래 게임 체인저'라는 판단에 소비자와 접점을 넓히고 있다.

CJ제일제당은 18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 열린 '식물성 식품 연구개발(R&D) 토크'에서 식물성 식품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2025년까지 매출 2000억 원 규모로 사업을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일으키겠다고 목표를 세웠다.
  
식물성 식품은 고기, 생선, 우유 등 동물에서 유래한 모든 식품을 식물성으로 대체한 것을 지칭한다. 대체육, 식물성 계란·우유 등이 대표적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12월 전문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하고 비건 만두와 김치를 시작으로 식물성 식품 사업을 시작했다. 이달에는 떡갈비·함박스테이크·주먹밥 2종을 출시했다. 
 
이어 인천공장에 연 1000t 규모의 자체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향후 사업 확대에 맞춰 추가 증설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신세계푸드도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데오역 인근에 식물성 정육 델리 '더 베러' 팝업스토어를 열었다. 오는 29일까지 대체육 관계자 초청행사를 진행한 뒤 30일부터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식물성 정육 델리라는 콘셉트에 맞춰 매장은 '부처 존'과 '델리 존', '베버리지 존'으로 구성됐다.
 
부처 존에서는 신세계푸드가 지난해 7월 선보인 대체육 슬라이스 햄 '콜드컷'을 비롯해 미트볼, 다짐육, 소시지 패티 등 다양한 제품을 마치 세련된 정육점에 온 듯한 분위기에서 직접 살 수 있다.
 
델리 존과 베버리지 존에서는 허브, 스파이스 맛을 살린 '슁켄 콜드컷' 등으로 만든 샌드위치, 샐러드, 파니니, 플레이트를 비롯해 베러미트 다짐육을 활용한 칠리 콘카르네 등 대체육 메뉴 20여 종도 즐길 수 있다.

농심도 비건 식품 브랜드 '베지가든'을 출시했다. 수분 함량이 높은 식물성 대체육 제조기술을 간편 식품에 접목해 다짐육, 완자, 만두 등 냉동식품을 선보인다. 연 매출 1000억 원을 목표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최근에는 비건 레스토랑 '포리스트 키친'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식품업계가 식물성 식품 시장 확대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는 것은 채식인구 증가와 함께 관련 시장 성장세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글로벌 비건 시장 규모는 26조 4000억 원으로 추정되며 매년 평균 두 자릿수 이상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국내 시장은 2020년 216억 원으로 2016년 대비 23.7% 증가했다. 2025년에는 약 280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아직 국내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된다.
 

shwnsdud_124@naver.com

nbn 시사경제, nbnbiz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