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n시사경제] 이원영 기자
한국의 65살 이상 고령인구가 올해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섰다. 일자리를 갖기를 원하는 고령자는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를 보면, 올해 7월1일 기준 국내 65살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5.2%(44만7000명) 늘었다. 전체 인구(5163만명)에서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17.5%로 늘어났다.
통계청은 오는 2025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올라가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기준상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부른다.
한국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7년으로, 일본(10년)·미국(15년)·영국(50년) 등보다 훨씬 짧아 한국이 급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
가구주 연령이 65살 이상인 고령자 가구도 올해 전체 가구의 24.1%에 달했고 2050년에는 전체의 절반 수준(49.8%)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가족과 노후준비에 관한 생각도 바뀌고 있다.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견해는 2010년 38.3%에서 2020년 27.3%로 줄었다. 반면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37.8%에서 49.9%로 올라갔다.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율은 65%에 달했다. 자녀와 친척 지원은 10년 새 39.2%에서 17.8%로 크게 줄었다.
전체 고령자의 절반이 넘는 54.7%는 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53.3%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기준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자산-부채)은 4억104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7.4%(6094만원) 늘었다. 전체 자산의 80% 남짓을 차지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 덕분이다.
2019년 기준 국내 66살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전체 인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중위소득의 절반 이하 소득자 비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22곳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qidosa@gmail.com
nbn 시사경제, nb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