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안태윤 작가 “도자기는 나의 길이고 자유다”
상태바
[인터뷰] 안태윤 작가 “도자기는 나의 길이고 자유다”
  • 김필수 기자
  • 승인 2024.01.30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리문(練理紋) 도자기 연구에 매진... 천 년 전의 연리문
안태윤 작가의 작품활동 중인 모습(사진=김필수 기자)
안태윤 작가의 작품활동 중인 모습(사진=김필수 기자)

 

[nbn시사경제] 김필수 기자

흐름
흐름

분청자기에 반해 도예가의 길을 반평생 걷고 있는 안태윤 작가는 “나에게 도자기는 자유다”라고 말한다.

안 작가는 “너무 회화적이고 너무 가식 없고 또 한편으로는 추상적인 그런 분청의 매력 때문에 도자기를 시작하게 됐다. 도자기를 할 때는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유로운 마음에서 흙을 만진다. 이것이 나에게 자유를 주고 예술혼을 불어 넣어 준다”라고 밝혔다. 

안 작가는 89년도에 대학입시를 앞두고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도자기를 선택했다. 일본 사회 문화와 산업이 우리나라보다 20~30년 앞서 있다는 현황을 듣고 도자기를 선택했다. 

우리나라 도자기 기술이 일본에 월등히 앞서 있지만 산업화로 이어지지 못해 일본에 뒤져 있다는 말에 충격을 받고 도자기 공부에 매진했다.

안 작가는 자신의 특허와도 같은 연리문(練理紋) 도자기 연구에 매진하고 그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연리문 도자기는 대략 11세기 말부터 12세기 초에 고려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했으며, 13세기 초 몽고의 침입으로 짧은 기간인 30여 년 제작되다 사라진 비운의 도자기로 불린다.

연리문(練理紋)이라는 것은 한국, 중국, 일본 3개국과 유럽에서 만들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를 마블링(marbling)도자기라 불리고 중국에서는 교태문(絞胎紋), 일본에서는 네리아게데(練 上手)라고 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흙과 흙이 교차하면서 섞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은 연리문(練理紋)이라고 하여 하늘의 이치 즉, 우주를 뜻한다. 그릇이 우주의 공간 즉, 신과 인간의 공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구름에 달 가듯2
구름에 달 가듯2

안 작가는 “한국의 도자기는 크게 고려청자, 분청사기, 조선백자로 나뉜다. 그러나 고려시대 상감청자와 같이 태어난 연리문(練理紋) 청자에 대해서는 도예가조차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안 작가는 “연리문 연구는 대략 천 년 전 만들었던 작품을 왜 현재에 그 시대처럼 만들지 못하는가? 라는 의문에서부터 시작됐다”라고 말했다.
또 “그동안 물레성형 방법을 박물관의 도자 파편들을 보며 연구했고 유의미한 성과를 얻었으며, 현재는 현대에 맞는 조형성과 기법, 그리고 대중성을 연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꿈속의 바다(왼쪽), 남해바다
꿈속의 바다(왼쪽), 남해바다

안태윤 작가는 대학에서 도자기 이론과 함께 강성곤 교수의 지도로 도예가로서의 기본을 정립하고 대학교 졸업 후에는 우리나라 분청자기의 예술성을 한 단계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 윤광조 선생의 지도로 작가로서의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안 작가는 스승의 작품을 배우고 익히면서 자신의 작품이 아닌 스승님의 작품을 흉내를 내고 있다는 생각에 자신의 색깔을 찾기 위해 연리문(練理紋)청자 연구에 매달렸다고 한다. 

생명(명태)
생명(명태)
구름에 달 가듯
구름에 달 가듯

안 작가는 천 년 동안 잠들어 있던 연리문 기법을 재현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안 작가는 연리문 기법을 찾기 위해 박물관을 돌아다니면서 도자기 파편과 제작 방법을 통해 힌트를 얻고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또한, 옛 선조들은 어떤 형태로 작업을 했을까?. 물레는 어떤 형태였을까?. 혼자 질문하고 답하기를 수천 번 하면서 얻은 결론은 옛날 방식으로 돌아가 보자는 것이었다고 한다.

번뇌
번뇌

안 작가는 선조들이 사용했던 방식대로 물레를 만들고 흙의 배합을 조정해 가면서 끊임없는 연구를 계속했다.

안 작가의 연리문 연구는 대학원에 진학해서도 계속됐다. 하지만 어려움도 많이 겪을 수밖에 없는 연구의 연속이다. 재료의 구입이 또 하나의 관건이었다. 연리문 연구가 흙의 혼합에 달려있기에 그리했다.

연구를 위해 3가지 흙을 혼합도 해보고 5가지 흙을 혼합해 보면서 색을 찾고 무늬를 찾아가는 작업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안 작가는 안정적인 재료 확보를 위해 도자기 재료상을 운영하면서 안정적인 재료 확보를 통해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

안 작가의 이러한 노력은 결국 자신 만이 가질수 있는 연리문 분청자기를 복원할 수 있었으며 우리 민족의 천년의 역사가 잠에서 깨어나는 기쁨을 마주하게 되었다.

섬

고려말 귀족들이 사용했던 연리문(練理紋) 청자가 천년이 지난 후에 젊은 작가의 호기심에서 시작하여 끈질긴 노력으로 드디어 세상에 찬란한 모습을 드러냈다.

안 작가는 “그동안 물레성형 방법을 박물관의 도자 파편들을 보며 연구했고 유의미한 성과를 얻었으며, 현재는 현대에 맞는 조형성과 기법, 그리고 대중성을 연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또한 “이제 전통 연리문 재현에만 그치지 않고 도예를 배우는 후학들에게도 아낌없이 전수해 주고 싶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안태윤 작가는 호남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석사학위를 취득 후 박사 과정을 밟고 있으며, 현재 한국도자협회 이사로 작품 활동을 왕성하게 펼치고 있다.

 

[안태윤 An tae yoon 프로필]

1995 호남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2015 호남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 졸업
2021 호남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한산
한산

단체 및 초대전
1995~현재 호남도예가회 활동
2013~현재 호남도자협회 활동
2014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2014 용천 청자 박물관 초대전
2014 중국 경덕진 세계도자축제 초대전
2015 호남대학 산업경영대학원 예술디자인학과 졸업(연리문 판 성형 조형 디자인 연구)
2015~2016 호남대학 산업디자인과 도자 강의
2016 중국 경덕진 세계도자축제 초대전 호남도예가, 호남도자협회 전시기획 및 참여
2017 중국 경덕진 세계도자축제 초대전 호남도자협회 전시기획 및 참여
2018 서울특별시청 한도협 초대전
2018 광주광역시청 한도협 초대전
2018 호우회 대구 초대전
2019 광주광역시청 한도협 초대전
2019 호우회 광주 초대전
2019 화엄사 성보박물관 초대전
2022 현충사 초대전(10월 예정)

 

press3011@naver.com

nbn 시사경제, nbnbiz


주요기사